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IRA<인플레이션감축법> 도마 위에…전기차 보조금 막차되나

자동차 제조사들이 전기차(EV) 구매 보조금 수혜 자격 취득을 위해 생산 및 부품 조달 구조를 재편하고 있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기차 업계와 직결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손보기 시작했다.     주요 매체들은 지난 22일 백악관이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진행했던 IRA 및 인프라투자일자리법(IIJA) 지출 중 일부를 중단시켰다고 보도했다. 업계에서는 최대 7500달러에 달하는 전기차 구매 보조금이 올해로 마지막이 될 수도 있다는 예측이 나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전기차 구매를 염두에 둔 소비자들의 관심이 업데이트된 보조금 수혜 대상 모델에 쏠리고 있다. 국세청(IRS)과 에너지부에 따르면 올해 IRA 구매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모델 수는 지난 14일 기준 23종으로 지난해 40종에서 42.5%나 줄었다. 〈표 참조〉   전기차 충전기 설치, 기후변화 대응 등을 위한 인센티브 등에 들어가던 연방정부 예산 집행이 중단됐으나, 당초 예상보다는 중단 범위가 일단 축소된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보조금 대상 차들의 생산자권장가격(MSRP) 상한은 모두 8만 달러로 책정됐으며 보조금 규모는 7500달러로 통일됐다. 단 1종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를 제외하고 모두 전기차로 구성됐다.   업계 예상과 달리 한국차는 2개에 불과해 아쉬움이 남았다. 신규 수혜 모델은 기아의 EV6와 EV9 등 전기 SUV 2종이 포함됐다.     지난 1일 기준 리스트에 포함됐던 현대차의 아이오닉 5와 아이오닉 9, 제네시스의 GV70 EV 등은 모습을 감췄다. 이들 모델은 IRA 수혜 조건인 배터리 핵심 광물에 대한 세부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GV70 EV는 지난 2023년 이 같은 이유로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사라진 바 있다. 일각에서는 현대차가 지난해부터 조지아주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HMGMA)를 본격적으로 가동하고 현지 생산을 강화하면서 IRA 세부 지침을 올 상반기 안에 모두 충족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프는 왜고니어 S를 새로 수혜 대상에 올렸다. 그러나 지난해 수혜 모델이었던 그랜드 체로키 PHEV와 랭글러 PHEV는 제외됐다.   테슬라는 지난해 출시한 전기 트럭인 사이버트럭 듀얼모터와 싱글모터 모델을 지난 1일 리스트에 추가했으며, 기존 모델인 모델 3와 모델 Y의 롱레인지와 퍼포먼스 트림 등이 여전히 수혜 대상에 포함됐다.   캐딜락의 리릭과 옵틱, 셰볼레의 블레이저 EV, 에퀴녹스 EV, 실버라도 EV, 포드의 F-150 라이트닝 시리즈 등 주요 브랜드의 전기차 모델들이 지난해에 이어 자리를 지켰다.   아우디, 링컨, 닛산, 리비안, 복스왜건 등은 올해 목록에서 모두 빠졌다. 포드와 셰볼레는 대상이 일부 조정됐다. 셰볼레의 볼트 EV와 볼트 EUV는 생산 중단으로 인해 목록에서 빠졌다.   포드의 이스케이프 PHEV, 링컨의 커세어 그랜드 투어링 또한 이번 수혜 대상에서 제외됐다. 닛산의 리프 S와 리프 SV PLUS, 리비안의 R1S(5종)와 R1T(7종), 복스왜건의 ID.4(8종) 역시 혜택 대상에서 빠지게 됐다.   한편, 전기차 구매를 앞둔 소비자들은 리스트에 오른 모델의 모든 트림이 수혜 대상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구매 전에 딜러 등 판매처에 확인할 필요가 있다.   자세한 정보는 에너지부와 환경보호청(EPA)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웹사이트(fueleconomy.gov/feg/tax2023.shtml)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인플레이션감축법 전기차 전기차 구매 전기차 업계 보조금 수혜

2025-01-23

[중앙 칼럼] 현대·기아 전기차 판매 호조 지속될까?

‘전기차 캐즘(chasm)’은 전기차(EV)가 시장에 소개된 후 초기 수요가 장애물을 만나 계속 대중화로 이어지지 못하고 정체된 상황을 말한다. 최근 1년간 전기차 판매가 둔화하고 있다는 보도가 쏟아지면서 자주 등장하는 말이다.     하지만 매달 각 자동차 제조사들이 발표하는 월간 판매실적을 집계해 보면 무슨 근거로 전기차 시장이 둔화하고 있다는 것인지 납득이 되질 않았다. 그래서 분석해 보니 업계 전문가나 언론매체들이 테슬라를 전기차 시장의 기준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모델 3와 모델 Y를 앞세운 테슬라가 업계 선두주자로 전기차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데다가 후발주자로 한국차를 비롯해 일부 업체에서만 전동화에 나섰기 때문이다. 테슬라가 전기차의 대명사라는 인식이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이렇다 보니 테슬라의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치면 마치 전기차 업계 전체가 부진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실제로 자동차정보 업체 콕스 오토모티브의 데이터에 따르면 1분기 기준으로 테슬라는 14만여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16만여대에 비해 13.3% 감소했다. GM과 복스왜건 역시 각각 20.5%, 12.2%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포드와 현대·기아는 각각 86.1%, 56.1%의 높은 신장률을 기록했으며 리비안 58.8%, 메르세데스 벤츠 66.9%, BMW 57.8%, 도요타 85.9%, 닛산 1.3% 등도 호조를 보였다.   주요 10개 브랜드 중 7개가 전년 대비 큰 성장을 기록했으며 지난 3분기 전체 28개 브랜드의 전기차 판매 실적도 총 34만6309대로 전년 동기보다 11.0% 증가했고, 9개월간 누적 판매량 역시 94만5722대로 8.7% 늘었다.     특히 아이오닉 5와 6, EV6와 EV9을 앞세운 현대차와 기아는 9개월간 총 9만1348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30.3% 증가했다. 이런 호조에 힘입어 처음으로 10만대 달성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처럼 전기차 판매가 성장 궤도에 오르는 데는 조 바이든 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의한 7500달러의 전기차 세액 공제 보조가 기폭제 역할을 했다. 비록 IRA 수혜 자격이 강화되면서 대상 모델들이 크게 줄어 초기의 판매 열풍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일부 업체가 자체적으로 7500달러 크레딧을 지원하면서 여전히 전기차 판매를 견인하고 있다.   그런데 이번엔 진짜 암초를 만나게 됐다. 트럼프 당선인이 현 정부의 전기차 지원을 비판하며 폐지하겠다고 선언했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은 전기차 구매의 걸림돌로 가격, 1회 충전당 짧은 주행거리, 충전 시설 부족 등을 내세우고 있는데 특히 10명 중 7명은 가격이 가장 큰 장애라고 밝히고 있다.     이에 업체들이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가격 저항감 낮추기에 나선 덕분에 “이제는 전기차를 사도 될 것 같다”는 시장 분위기가 조성되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에서 전기차 보조금 폐지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전기차 업계는 공들여 세우고 있는 탑이 자칫 하루아침에 무너질 수 있다는 위기감에 사로잡힐 수밖에 없다.     결국  EV 및 배터리 관련 기업들로 구성된 단체인 ZETA는 최근 성명을 내고 세액공제가 일자리 증가와 새로운 경제 기회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면 보조금 폐지 반대를 촉구하고 나섰다.   현대차의 첫 외국인 CEO로 내정된 호세 무뇨스 최고운영책임자(COO) 겸 북미권역본부장은 지난 21일 LA오토쇼 프레스 컨퍼런스 후 인터뷰에서 “어떤 규제가 나오더라도 유연하게 대처할 준비가 돼 있다”며 강한 자신감을 표명했다.   ‘When life gives you lemons, make lemonade’라는 속담이 있다. 흔히 ‘피할 수 없으면 긍정적인 태도로 즐기며 극복하라’는 의미로 풀이되는데 한국차가 어떻게 위기를 기회로 바꾸며 성장세를 이어갈지 주목된다. 박낙희 / 경제부 부장중앙 칼럼 전기차 현대 전기차 판매가 전기차 시장 전기차 업계

2024-11-2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